• 응용곤충학전공
학과소개

농생물학과는 식물보호라는 공통 목표 아래 크게 두 분야의 독립된 전공이 모여 있는 학과로서, 대학원생은 식물병리학 전공과 응용곤충학 전공으로 나뉜다. 세부전공과목에서는 두 전공이 공통되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과목수강 등 대학원에서의 모든 교육과 연구는 각 전공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식물병리학 전공은 다시 식물진균병학, 식물세균병학, 식물바이러스병학, 수목병리학, 분자식물병학 등의 세부전공으로 구분되나, 모든 세부전공이 식물과 병원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대부분 공통된 과목들을 수강한다. 연구분야에서는 각 전공별로 특화된 내용을 수행하며, 농작물은 물론 산림 및 조경식물 관상식물 등 모든 식물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상의 원인규명으로부터 치료에 이르기까지 식물이상의 모든 것을 연구한다. 또한, 식물 및 농업에 유용한 미생물자원의 개발과 활용도 연구하며, 궁극적으로는 식물병리학자와 식물의사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응용곤충학 전공은 곤충분류학, 곤충독성학, 곤충병리학, 위생곤충학, 곤충분자생물학 등의 세부전공으로 구분되지만, 각 세부전공 모두 ‘해충으로부터의 식물보호’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으므로 응용곤충학 공통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농작물로부터 산림의 수목까지, 식물에 해를 주는 곤충의 생태와 방제는 물론, 유용곤충 및 위생곤충 등 곤충의 활용까지 포함하여, 곤충에 의한 식물 피해의 방제 및 곤충자원화를 추구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식물해충을 연구하는 곤충학자 및 식물의사의 양성이다.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기초공통
석사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연구과제
석사
연구과제 Ⅰ Research Projects Ⅰ
박사
연구과제 Ⅱ Research Projects Ⅱ
응용곤충학전공
석·박
검역해충관리특론 Advanced Management of Quarantine Insect Pests
곤충분류학특론 Advanced Insect Taxonomy
환경생태학 Environmental Ecology
분자유전학 Molecular Genetics
계통생물정보학 SystematicBioinformatics
보존및자원생물학 Conservation and Resource Biology
곤충생리학특론 Advanced Insect Physiology
곤충바이러스공학특론 Advanced Insect Virus Engineering
곤충미생물생명공학 Insect Microorganism Biotechnology
미생물살충제특론 Advanced Microbial Insecticide
세포배양특론 Advanced Cell Culture
곤충행동학특론 Advanced Insect Ethology
계통분류학 Insect Systematics
분자진화학 Molecular Phylogenetics
농업곤충생태학 Agricultural Insect Ecology
곤충독성학 Insect Toxicology
자원곤충학특론 Advanced Resources Entomology
삼림해충학 Forest Insect Pest
곤충화학생태학 Insect Chemical Ecology
화학적방제특론 Advanced Insect Chemical Control
해충표본조사론 Insect Survey
해충관리학 Insect Pest Management
농업해충학특론 Advanced Agricultural Insect Pest
곤충형태학특론 Advanced Insect Morphology
곤충유전학 Insect Genetics
곤충병리학특론 Advanced Insect Pathology
천적론 Natural Enemies
저장물해충학 Insect Pest of Stored Products
작물내충성론 Insect Resistance in Crop Plant
응용곤충학연구 Seminar in Applied Entomology
응애학 Acarology
유충분류학 Taxonomy of Immature Insects
위생곤충학특론 Advanced Medical Entomology
양봉학특론 Advanced Apiculture
식물병매개곤충학 Insect Vector of Plant Disease
살충제생물검정 Bioassay of Insecticides

연구실소개

■ 곤충계통분류학 실험실
    곤충계통생물정보학실은 다양한 곤충을 대상으로 계통학적 비교 분석과 진화 체계를 연구하는 곳이다. 특히 나비목처럼 농업, 검역, 그리고 환경생태적 중요성을 갖는 분류군에 대해서, 그들의 형태적 특징과 DNA와 같은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DB화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즉 순수학문과 응용학문의 가교적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나비공원이나 곤충박물관처럼, 곤충을 자연교육의 중요한 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활동을 하고, 특히 최근 빠르게 일반화되고 있는 충식 등, 곤충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및 창업활동을 통해 자연의 일부인 나비나 잠자리가 자연의 아름다움과 연약함을 대변해주고 이러한 자연을 우리가 어떻게 보존하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깨우쳐가는 연구실이 되고자 한다.

■ 곤충생태독성학 실험실
    곤충생태 및 독성학 실험실은 기본적으로 곤충의 생태 및 방제에 대한 연구를 하는 곳으로, 농업해충, 검역해충, 위생해충, 산림해충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약제 감수성 및 저항성 탐색과 천연물을 이용한 방제제 개발, 훈증활성 검정 등과 같은 화학적 방법과 이온화에너지와 같은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들에 대한 작용기작 연구로 효소활성과 유전자발현, 점돌연변이 등을 수행하고 있다. 본 실험실에서는 다양한 해충의 생태와 방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해충방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곤충병리 및 생명공학실험실
    곤충병리 및 생명공학실험실은 곤충병원성 미생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곳이다.

    사람을 비롯하여 동식물들 또한 다양한 질병과 함께 살아가듯 작은 곤충역시 여러 가지 미생물들에 의해 다양한 질병에 시달린다. 곤충병리학은 이러한 곤충의 여러 가지 질병을 연구하고 그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탐구하는 연구 분야이다. 현재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곤충병리학은 곤충질병의 치유에 있기 보다는 이들 병의 원인체인 미생물들 중 특히 곤충 병원성 곰팡이 배양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 및 다양한 활성 물질 탐색이 있으며 곤충 병원성 바이러스인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용 단백질 생산 및 동물 및 인체에 발병하는 바이러스 질병의 차세대 백신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바이러스 유사입자(Virus-like particle)를 누에 유충에서 생산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Copyright ⓒ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2017, All Rights Reserved.
(우.28644) 충북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Tel. 043-261-2505 Fax. 043-269-2549 / Email: agriculture@cb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