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 가득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을 방문해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우리 농업생명환경대학은 1951년 청주 초급농과대학으로 설립되어 국립충북대학교의 모체인 동시에 중심대학으로 지금까지 그 역할을 다해오고 있으며, 국내외 농생명 산업 분야를 선도하는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위해 모든 구성원들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농업은 인류에게 있어 삶의 근본이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중요 산업으로, 21세기인 지...
대학소개 농업생명환경대학은 1951년 충북대학교의 모체인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한 이래 지난 60여년 동안 농업생명환경분야에 필요한 전문 고급인력을 배출함으로써 국가와 해당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을 해왔다. 농생명산업은 역사 이래 인류의 생존에 꼭 필요한 식량과 자연환경을 공급해 왔으며, 현 세대가 미래 세대에게 전해 주어야할 중요한 미래산업으로 인식되...
연혁
조직도
업무별 담당자 업무별 담당자 부서 이메일/전화번호 담당 업무 학장 043-261-3025 농업생명환경대학 업무 총괄 교학담당부학장 043-261-2501 ...
교내전화번호 교내전화번호 부 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학장 043-261-3025 교학담당부학장 043-261-2501 행정실 ...
교원현황 교원현황 학과 교 수 조교 합계 비고 교수 부교수 조교수 계 식물자원학...
찾아오시는길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10 Fax : 043) 273-2242 URL : https://crop.chungbuk.ac.kr 학과소개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식물자원의 광합성 작용을 통한 태양에너지의 고정에 생존을 의존하고 있다.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은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의 공급뿐만 아니라 인류의 풍요로운 삶을 위한 원자재의 공급과 쾌적한 환경을 보존하는데 필수적이다. 식물자원학과에서는 ①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32 Fax : 043) 272-5921 URL : http://forestscience.cbnu.ac.kr/ 학과소개 산림은 대기 정화, 수자원 함양, 토양 보전, 휴양 및 치유 장소 제공, 야생동식물 서식처 제공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산림에서 생산되는 목재는 산업용 원자재로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산림을 조성하고 관리하여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산림의 바이오매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국...
학과 연락처 주소 :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충북대학교 S21-5동 209호 (지역건설공학과) Tel : 043) 261-2572 Fax : 043) 271-5922 URL : http://jigong.chungbuk.ac.kr/ 학과소개 우리의 국토에서 대부분은 농촌지역입니다. 더 늘어나지 않는 이 농촌 안에서 우리 국민들이 숨쉬고, 일하고, 즐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안에는 자연이 있으며, 많은 생태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공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59 Fax : 043) 271-5921 URL : http://agchem.chungbuk.ac.kr 학과소개 환경생명화학과는 1962년 설립된 이래 국내 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체에서 활약하고 있는 약 1,600여명의 학사 졸업생, 170여명의 석사 및 50여명의 박사를 배출하였으며, 다가올 농업 및 생명과학 시대를 이끌 선도적 지도자와 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연구활동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는 분자수준...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18 Fax : 043) 271-0413 URL : http://tobagin.cbnu.ac.kr/ 학과소개 특용식물학전공 교육과 연구목표는 담배와 인삼 등 약용 및 기능성 물질의 보고인 특용 식물 자원의 생산보급, 부가가치 향상과 기능성 신소재 개발을 통한 특용 식물의 산업화에 있습니다. 1968년 연초학과로 설립되어, 기능성 식품이나 기능성 물질의 새로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2005년 특용식물...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25 Fax : 043) 271-0414 URL : http://hortisci.chungbuk.ac.kr/ 학과소개 채소, 과수, 화훼 및 조경 식물의 생리와 생태, 재배 유전, 육종, 저장, 이용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새로운 재배기술 및 원예 작물의 개발을 통하여 고품질의 원예 산물을 주로 공급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과 세계 식량문제 해결을 우위 하여 노력하고 있다. WTO 체계 아...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79 Fax : 043) 271-4413 URL : http://bse.chungbuk.ac.kr 학과소개 농촌인구의 감소, 고령화, 농산물 시장의 개방과 같은 국내외 농촌환경의 변화는 농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 구조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오시스템공학과는 우리 농촌의 생산 환경에 알맞은 농업생산, 농산물 가공, 농업 에너지 활용과 관련된 기계화, 자동화, 첨단화...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52 Fax : 043) 271-4414 URL : https://plantmed.chungbuk.ac.kr 학과소개 식물의학과(Department of Plant Medicine)는 식물의 치료 연구를 하는 곳으로, 기본적으로 농생물학과와 유사하나 보다 미래지향적으로 전문화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식물의학과에는 응용 곤충 분야와 식물병리 분야가 있으며, 그 중심내용은 미생물 및 해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의 병충해...
학과 연락처 Tel : 043)261-2565 Fax : 043)271-4412 URL : http://food.chungbuk.ac.kr 학과소개 식품생명공학과은 1982년 식품가공학과로 설립되어, 식품 및 생명공학을 선도하기 위하여 현재 식품미생물학 실험실, 효소·발효공학 실험실, 식품신소재화학 실험실, 식품생물공학 실험실, 식품공학 실험실, 식품가공학 실험실이 운영되고 있으며, 생물과 물리, 화학 등 순수과학을 기초로 하여 농ㆍ축ㆍ수산 원료를 이용한 ...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40 Fax : 043) 273-2241 URL : http://wood-paper.chungbuk.ac.kr/ 학과소개 목재와 종이는 환경친화적인 생물재료로 Eco-Bio material이다. 목재ㆍ종이과학은 21세기에 필요한 생물재료의 재료과학으로서 목재의 조직, 주거구조재로서의 목재의 물성, 주거환경, 새로운 가공법과 기계 개발, 목재가공에 필요한 고분자재료, 펄프, 종이의 제조 및 물성, 각종 공업원료, 목질신소재의 개발, 임...
학과 연락처 Tel : 043) 043) 261-2587 Fax : 043) 271-5920 URL : http://agecon.cbnu.ac.kr 학과소개 농업경제학은 경제학이론을 기초로 한 응용경제학 분야이면서 경영학적인 시각에서 농업 및 농업관련 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농업경제학과에서는 농업경제-경영전반에 관한 전문지식 및 그 적용능력과 분석기량을 학습케 하여 국민경제의 발전과 농촌복지 증진에 기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
소개 농업생명환경대학 부속농장은 대학과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따라서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현장실습 및 실험을 지원하며, 교수와 대학원생들의 연구와 실험을 위한 장소와 시설을 제공하고, 각종 농업교육용 자료를 제공하고,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육성된 품종과 재배기술을 보급하며, 각종 농업기술교육을 지원하고, 학내외의 각종 기관과 상호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농업 지도자의 교육과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
주요업무 농업생명환경 교육과 연구를 위한 교수, 대학원생 및 학부생의 각종 실험과 실습의 장 교육 및 연구용 각종 시설과 자료 제공 농업생명환경 관련 학술 정보 제공 지역특성에 적합한 농업생명환경 기술 개발
기구표 및 인원현황
직원소개 직원소개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호 E-mail 조용구 농장장 ・ 업무총괄 043)261-2514 ygcho@chungbuk.ac.kr ...
연혁 연혁 년도 내 용 1951년 충북대학교 개교와 함께 설립(목장과 농장의 종합체계 운영) 1954년 부속농장과 부속목장으로 분리 1956년 청주 내덕...
포장현황 포장현황 답작 전작 과수 온실 2700평 4067평 2300평 437평 ...
부속농장의건물및현황 부속농장의건물및현황 건물명 평수 동수 비고 농장관리동 300평(2층) 1 강의실, 실험실, 농장장실, 연구...
소개 동물자원개발센터는 축산학 전반에 걸친 이론과목을 통한 학부학생 현장 실습 및 축산기술연마와 대학원생과 교수의 실험연구수행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축산발전을 촉진하고자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중부권의 거점대학인 충북대학교가 주축이 되어 학생실습과 교수연구를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최첨단 축산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한다.
주요업무 축산학과 학생 현장실습 및 교수, 대학원생의 축산 전반에 걸친 연구 축산농가의 현장 견학 및 실습교육 최첨단 축산 기술지도 및 우량품종 개발보급 지역경제 활성화
직원소개 직원소개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호 E-mail 최성호 동물자원 개발센터장 업무총괄 043-261-2545 seongho@cbnu.ac.kr 권완구 주무관 가축관리, 포장관리 04...
연혁 연혁 년도 내 용 1951년 4년제 농과대학으로 승격됨 1953년 4년제 농과대학으로 승격됨 1956년 9월 충북대학교 부속목장으로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소재 종축장 시설을 인수 ...
동물자원개발센터 건물현황 동물자원개발센터 건물현황 실내연구축사 유우사 돈사 관사 창고 비고 544㎡ 222㎡ 141...
소개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forest.cbnu.ac.kr/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월악산에 소재한 우리대학 부속학술림은 산림과학분야의 시험연구와 교육실습은 물론, 관련 학문에 유용한 교육과 연구의 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1959년부터 충청북도지사로부터 관리권을 이양받아 관리하고 있다. 학술림 전체 면적은 2,402.41㏊이며 그 동안 393.6㏊에 달하는 광범위한 면적에 조림을 실시하였고 매년 시험연구과 교육실습에 활용도가 높다. 또한 개신캠퍼스에는 ...
주요업무 산림과학의 학술연구, 임지 환경 모니터링 현장 교육실습, 산림기술 및 임산물 가공기술 개발 생물자원 보전 유지 관리 휴양 제공 로하스임업 학술림 연구보고 발간
주요시설현황 주요시설현황 구분 면적(㎡) 동수 실습(주당) 비 고 시간 인원 건물 및 시설 덕주...
직원소개 직원소개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도 E-mail 이화용 학술림장 학술림 총괄 043-261-2538 leehy@chungbuk.ac.kr ...
학술림관리소사진
소개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planthospital.cbnu.ac.kr/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부설 식물종합병원은 식물을 키우는 시민 또는 농업인을 위하여 농업생명환경대학의 교수들의 전문지식을 이용하여 식물의 병, 해충, 생리 및 환경적 장해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을 제공하는 대민봉사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충북대학교 식물종합병원에는 학내 교수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원, 산림환경연구소, 사설나무병원, ...
주요업무 식물 병원
연혁 연혁 년도 연혁 1991년 9월 식물종합병원 설립 발기인 대회 1991년 12월 대학본부에 식물종합병원 설립 신청 1992년 ...
운영위원회 소개 운영위원회 소개 성 명 소 속 직 책 E-mail 전화 김흥태 식물의학과 병원장 htkim@chungbuk.ac.kr 261-2556 우수동 식물의학과 운영위원.총괄부장 sdwoo@chungbuk.ac.kr 261-2553 민이기 식물의학과 원...
진단절차 우편의뢰 산림과학의 학술연구, 임지 환경 모니터링 진단의뢰 식물체는 전형적인 피해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고릅니다. 해충의 경우 식물체와 같이 보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피해단계별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일수록 더 좋습니다(예 초기단계, 진행단계, 말기단계). 완전하게 죽은 부위보다 아직 살아있는 부분을 샘플로 채취합니다. 가능한 뿌리와 토양을 포함한 식물전체나 각 부분을 가져오도록 합니다. 크기가...
소개 농업생명환경대학은 지역농업발전을 위한 중심체 역할을 담당할 능력을 갖춘 대학으로 인정받아 1994년부터 「농림계 특성화 지원사업 대상대학」으로 선정되어 50억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충북의 특산물인 포도/담배/버섯분야를 주축으로 연구 활동 및 농민지원 계획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지역의 연구거점 기반인 【농업과학기술교육센터】를 설립하여 포도/담배/버섯 상담실을 운영하고,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첨단원예기술센터, 연초연구소, 담...
주요업무 농업관련 기술 및 교육 기술보급과 농촌지도 기타 대 농민 서비스에 관한 사항
주요사업소개 전문농업인 최고경영자과정 전문농업인 최고경영자과정은 충북도내 거주 농업인들을 CEO로 양성하기 위하여 전문분야별로 새로운 농업기술과 농업경영 전략을 교육하고 토론하는 열린 프로그램이다. 기초 공통분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농업정보의 활용방법 등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배양과 농업경영진단과 계획 등 농업경영활동과 관련된 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전공분야에서는 분야별로 최고경영자로서 갖추어야 할 첨...
과정소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전문농업인 최고경영자과정은 충북도내 거주 농업인들을 CEO로 양성하기 위하여 전문분야별로 새로운 농업기술과 농업경영 전략을 교육하고 토론하는 열린 프로그램이다. 기초 공통분야에는 농업정보의 활용방법 등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배양과 농업경영진단과 계획 등 농업경영활동과 관련된 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전공분야에서는 분야별로 최고경영자로서 갖추어야 할 첨단기술의 이론과 실제, 현장...
소개 충북대 농업생명환경대학 미래 전문농업경영인 교육과정은 농업경영체 현장실습교육, 창업 및 취업교육, 영농승계교육, 지역개발컨설턴트 양성교육의 4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생산기술과 경영기법을 동시에 교육함은 물론 고추특화작목협력단, 마늘특화작목협력단, 포도특화작목협력단, 한우클러스터사업,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친환경농산물인증센터, ABC NURI 사업단, 바이오농업기술실용화사업단(BK21) 등과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 제공...
주요업무 농정에 필요한 수준의 기술ᐧ경영능력을 갖춘 전문농업경영인 육성 농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젊고 유능한 선도 농업인의 양성 산-학-연-관 Cluster를 이용한 전문 농업경영인력 양성 취업희망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렘제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 선도농업인과의 교류를 통하여 벤처정신 및 농업경영 마인드 제고 영농정착을 희망하는 학생의 조기발굴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 전문적인 ...
총괄 및 지도교수 소개 총괄 및 지도교수 소개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도 E-mail 우선희 과정장 업무총괄 043)261-2515 shwoo@CBNU.ac.kr ...
미래전문농업경영인교육과정 사진
소개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astri.cbnu.ac.kr/ 안녕하십니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본 연구소는 1972년 설립 이래 인류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기본 요건인 먹거리의 생산관리와 쾌적한 주변 환경을 가꾸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활동을 지원 및 관리하여 지역과 한국 농업발전에 기여하여 왔습니다. 농업과학기술연구소는 농업의 생명공학 및 환경 기반구축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며, 기초생산기술, ...
설립목적 농업생명과학분야의 연구를 총괄 지원하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갖추어 대학의 연구역량을 극대화시키며, 아울러 농업 및 생명산업관련 산업체, 연구소 및 정부기관과의 산학연 협동연구활동을 확대/심화시키고, 국제공동연구 및협력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며, 우리나라 농업생명과학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할 목적으로 농업과학기술연구소는 1972년 발족하여 농과대학 부속 농업과학기술연구소로 개칭되었으며, 1988년에 법정연구소로 정식인가...
장/단기 발전계획 1) 발전목표 - 중부권 중심의 거점연구소로서 역할 수행 - BT를 중심으로 한 생명과학 및 환경 분야의 핵심적인 연구 담당 -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연구소로서의 역할 수행 - 농업경영 혁신을 위해 종합 컨설팅센터 역할 목표 -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유통정보의 제공 - 농업 및 관련 교육 실시 2) 구체적인 사업 목표 - 농업기술의 보급과 유통정보의 전달 및 교육을 위한 농민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 BT를 중심...
주요업무 및 연구 1) 연구과제 관리연구원들의 연구수행을 위한 제반 행정사항 및 연구비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최근 연구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연구과제는 양적, 질적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산학협력단 종합정보시스템이 교내 종합정보시스템으로부터 분리·도입된 2008년 1월부터 2010년 8월 까지 260여 과제를 협약하였으며, 총 100억여 원의 연구비를 관리하고 있다. 2) 학술논문집 발간학술논문집 『농업과학연구보고』 제 1권을 1983년 12월에 발간한 이...
연혁 연혁 년도 연혁 1972년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발족 1975년 농업과학연구소로 개칭 1979년 5월 충북대학교 규칙 제 61호로 농과대학 부설, 농업과학연구소로 설립 1988년 3월 법정연구소 인가 취득1992년 10월 용역계약용 고유번호 획득 1997년 2...
오시는 길 주소: 충북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전화: 043)261-2604 팩스: 043)272-0983
소개 담배는 경제작물로서 농가수입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상의 역할도 크며 수출작물로서 외화획득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가 및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담배에 대하여 원료엽 및 제품의 합리적 생산을 위한 이론 및 기술을 연구·개발한다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우리나라 담배 산업의 중추적 지역에 위치한 본 대학교에 1966년 9월 28일 법정연구소로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에서는 개설 후 육종, 재배, 영양, 가공, 보호 ...
주요기능 본 연구소는 육종연구부, 재배연구부, 영양연구부, 가공연구부, 보호연구부, 경영연구부의 6부를 두고 있으며, 각 부에서는 부장과 전문 분야의 교수들로 구성된 연구원들이 다음과 같은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육종연구부 : 유전 및 육종에 관한 연구 재배연구부 : 재배, 건조, 생리, 생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영양연구부 : 토양비료 및 영양생리에 관한 연구 가공연구부 : 재건조, 가공, 제조 및 연초부산물의...
연혁 연혁 년도 연혁 1966년 9월 28일 엽연초연구소 설치인가 1967년 1월 1일 연구소개설 노두현교수소장취임 1969년 5월 31일 정원채교수 소장 취임 1969년 8월 1일 연구소 규약제정 1975년 6월 12일 노재영부교수 소장 취임 1977년 12월 22일 연구소 개소 10주년기념 학술연구 발표회 개최, 한국연초학회창립 1978년 ...
직원소개 직원소개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호 E-mail 임흥빈 연초연구소장 업무총괄 043)261-2521 treering@chungbuk.ac.kr
소개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horttech.re.kr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는 96년도에 선정한 한국과학재단의 지역협력연구센터인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로 선정되었다. 본 센터는 창의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첨단원예과학기술 발전을 도모하는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소이다.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는 1996년 3월 개소식를 시작으로 병역특례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교육부에서 이공계 우수연구소 선정되었으며, 실험실 벤처기업...
주요업무 및 연구 센터의 목표는 지역의 특화산업을 육성시키고 경쟁력 강화하여 환경친화적인 원예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대학의 연구역량 증대와 효율적 산학관연 체재를 구축하고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독자적 원천기술 개발로 기술우위를 확보하고 과학기술발전 도모하고자 한다. 첨단원예기술개발 등의 현장애로 기술 및 학연산 공동의 장기과제를 선정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개발된 기술을 산업화하고자 한다. 본 센터에서는 품목별 교육훈련과정 개...
연구원 현황 연구원 현황 이름 직급 주요업무 전화번호 E-mail 김대일 센터장 043)261-2527 dkpomo@chungbuk.ac.kr 신현석 연구원 김금선 연구원 &nbs...
연혁 연혁 년도 연혁 1996년 2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지역협력연구센터 지정통보 1996년 3월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지정서를 과학재단으로 부터 수령 1996년 10월 일본 지바대학교 원예학부와 국제교류협정체결 1997년 12월 병역특례 기관 지정 1998년 1월 베트남 Dalat대학과 국제 교류 협정 체결 1998년10월...
주요연구시설 - 가. 온실동(전체5동) : 1,126.4㎡ - 나. 온실관리동(1층) : 631㎡ (생명공학실 162㎡, 분석기기실Ⅰ138㎡, 분석기기실Ⅱ 66㎡, 센터사무실 66㎡, 온실관리실 44㎡, 생장장실 66㎡ 등) - 다. 실험실내 벤처기업 : 1,690㎡(제1공장 330㎡, 제2공장 1,360㎡) 기자재 보유현황 기자재 보유현황 ...
소개 본 연구소는 동물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충청 지역의 동물자원 산업인 축산업 발전을 위하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를 중심으로 2003년에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는 이 지역의 축산업 관련 업무의 국가기관 및 민간단체와의 협력 하에 지역 내 축산업 생산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고 새로운 이론과 기술을 신속히 보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현장의 문제를 교육에 반영함으로서 산학 협동을 통하여 충북 지역 축산업의 발전을 도모하...
주요사업소개 동물생명 응용 및 산업 관련 분야의 제반 연구 동물생명과학 산업과 연관된 각종 수탁 연구사업 축산 관련 종사자의 교육, 기술훈련, 현장지도 지역 축산 농민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연구사업 지역 축산업 관련 정보의 수집ㆍ분석과 진단 우수 능력을 가진 개체의 효율적 선발위한 경제형질과 연관된 연구 축산신기술개발 생봉독 요법적용 기업축산 신기술 공동개발 협...
연혁 연혁 년도 연혁 2002년 11월 1일 충북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설치 인가 2003년 6월 30일 김남형교수 소장취임 2003년 7월 1일 연구소 규약제정 2007년 6월 30일 송만강교수 소장취임 2008년 5월 01일 연구소 홈페이지(서버) 구축 및 운영 (http://anbioins.chungbhuk.ac.kr) 2008년 6월 동물생명과학연구...
주요시설현황 주요시설현황 구분 동수 실습(주당) 비 고 시간 인원 건물 및 시설 -동물생명과학연구 실내축사-연구소사무실 91동 수시이용 30 농과대학 축산학과 91동 소재 (실험실, 사무실, 기타)
연구원 현황 연구원 현황 이름 직 급 주요업무 전화번호 E-mail 송만강 연수소소장 겸 운영위원장 mksong@cbnu.ac.kr 김남형 운영위원 nhkim@cbnu.ac.kr 정정수 운영위원 cschung@cbnu.ac.kr 최양일 운영위원 yangilchoi@cbnu.ac.kr 차병진 ...
사업소개 설립목적 본 은행은[연륜재료]를 비롯한 [장기간 연륜연대기재료]와 [고기후재료]를 확보하기 위해 작업기관과 규모의 차별화가 필요하기에 한국과학재단의 후원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국내의 목재연륜소재에 대한 조사, 분양 보존처리 및 연구 사업을 통해 연륜연대와 바이오 목재 표본분야의 발전과 국내 연륜소재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바이오 목재표본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소개 본 은행은 목재연륜소재와 바...
사업소개 설립목적 본 센터는 2003년 10월 담배연기성분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KS Q ISO/IEC 17025)으로 지정받고 2004년 1월 기획재정경제부로부터 "담배연기성분측정기관"으로 지정받아 담배사업자가 제조한 담배연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사업소개 본 센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담배연기분석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담배사업법'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모든 담배에 대하여 분기마다 제조업자와 수입판매업...
사업소개 설립목적 본 센터는 국민생활 선진화에 따른 농산물의 수요가 안전농산물에 집중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친환경 안전농업의 조정착을 위하여 생산자와 함께하는 수요자 중심의 기술개발과 현장활용 시스템구축, 특성화농산물의 브랜드 및 신유통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사업소개 본 센터는 국가기관으로 부터 지정받은 토양오염도검사, 진류농약분석, 비료물질분석, 나아가 농산물인증 등의 업무와 관련된 분석 시설 ...
장학제도
학과 연락처 Tel : 043) 261-2544 Fax : 043) 273-2240 URL : http://animalscience.chungbuk.ac.kr 학과소개 인류가 이룩한 가장 큰 업적은 “야생동물을 인간이 제공한 환경에 적응시켰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것이 우리 축산 선배들의 업적이고 또 이 순화된 가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미래의 축산인이 하여야 할 과제이다. 축산이란 인간과 더불어 살아 숨 쉬는 가축과의 생활이기에 근면과, 성실, 끈...
식물자원의 가치증진과 활용을 통한 식량의 안정적 생산과 공급은 식물이 자라는 토양, 기후와 같은 환경과는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이에 식물자원학 전공과 환경생명화학 전공에서는 융합형 인재의 사회적 요구 증가와 학생의 전공 선택 기회 확대를 취지로 두 학과의 기초 전공을 통합하여 식물자원환경화학부를 운영합니다. 2년의 학부 과정에서 식물의 생리생태, 재배이론, 생명공학, 유기화학 및 생화학과 같은 두 전공의 심화 과정 이해를 위한 기초학문을 공...
인류복지와 첨단산업발전에서 비중이 높은 식품 및 축산학 분야의 심충 교육과 연구를 위하여 식품생명·축산과학부가 설립되었다. 본 학부에서는 최신 교육기법을 과감히 도입하여 21세기에 부합되는 첨단인력을 양성하고, 충북대학교의 장기발전계획에 따른 핵심인력 양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견실한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산·학 공동 연구 및 첨단응용과학기술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본 학부를 졸업하는 학부생의 경우, 생명공학, 식품·동물자원, ...
응용생명공학부는 창의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산업 수요에 대응하고 학제 간 융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16년에 신설되었고 원예과학전공, 식물의학전공, 특용식물학전공으로 구성되며, 학제 간 전공은 유지하되, 융복합 영역별 트랙제를 운영함으로써 전문성과 창의성, 응용능력을 겸비한 미래 지향적 인재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예과학 및 특용식물학은 고부가가치 신선농산물을, 치유와 힐링, 기능성 첨단소재 등 풍요롭고 건강한 미래사회를 만...
경부고속도로 이용 시 청주IC 나와서 왼쪽 청주방향 6.5km 이동 →산업단지육거리 → 충북대학교 방면 우측도로 500m 이동 → 충북대 정문 → 첨단바이오연구센터 S20동 도착 중부고속도로 이용 시 서청주IC 나와서 좌회전(청주방향) 1.5km 이동 - > 솔밭공원 사거리 → 시청 방면으로 우회전 200m 이동 후 좌회전 → 1.5km 이동 → 산업단지육거리 → 충북대학교 방면 우측도로 500m 이동 → 충북대 정문 →...
철도 이용시 KTX 오송역 오송역 앞에서 청주행(일반511, 517, 520번) 버스 이용 일반철도 : 경부선, 호남선 조치원역 조치원 역 앞에서 청주행(좌석 502번, 일반 511번) 버스 이용 고속버스 이용 시 출발지 : 서울, 동서울, 상봉, 대구, 부산, 광주 고속버스 터미널 도착지 : 청주고속버스터미널(가경동) 시외버스터미널앞 정류장에서 시내버스승차, 충북대학교 입...
주차 안내 충북대학교내 주차장은 진입차량 대수 유지를 통한 교육환경확보를 목적으로 유료로 운영되며, 주차장 운영 및 주차 요금에 관한 사항은 “충북대학교교통관리운영세칙”에 근거하고 주차료부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 주차요금 안내 대 상 요 금 비 고 교내 출입 모든 차량 (할인권, 주차료 면제대상...
연혁 연혁 년도 연혁 1959년 충청북도 지사로부터 충북대학 학술림으로 관리권 이양. 현지주민 3명을 관리원으로 임명함. 1961년 농수산부 장관으로부터 잠정적인 영림계획을 인정받아 계획적인 관리가 시작 1963년 ...
종합대학이전 연혁 년도 연혁 1951년 8월 31일 청주 초급농과대학 설립인가(2년) 초대 조현하 학장 취임 9월 27일 개교 농학과, 축산학과 ...
종합대학 이후(1978~1999년) 연혁 년도 연혁 1978년 3월 충북대학교 종합대학으로 승격 제 1대 이만우 농과대학장 취임 농공학과를 농기계학과로 농업토목학과로 ...
종합대학 이후(2000~현재) 연혁 년도 연혁 2000년 2월 러시아 과학원과 학술교류협약 3월 농학과를 식물자원학과로 과명 변경 2001년 3월 모집...
교과과정(작물학)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기초공통 석사 실험설계 Experimental Design ...
교과과정(농화학)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농화학과 석사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 Ⅰ Research Ethics &...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축산.원예.식품공학부 기초공통 석사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Research Paper Writing ...
교과과정(기능성식품전공)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바이오산업협동과정 기초공통 석사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Researc...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축산·원예·식품공학부 기초공통 석사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Resear...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산림학과 기초공통 석사 조림학특론 Advanced Silviculture 산림학과 연구과제 석사 연구과제Ⅰ ...
교과과정(지역환경수리공학전공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Water Engineering)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전공공통 석․박 ...
교과과정(지역개발공학전공 Rural Development Engineering)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기 초 공 통 석 사 응용해석특론 ...
학과소개 국내 경제 및 사회의 선진화는 노동력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였고, 국내 농산물 시장의 개방화 압력은 농업의 구조 개선을 절실히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농산물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바이오 관련 작업의 첨단기계화가 필요하다. 본 학과는 바이오 관련 작업의 첨단화에 관련된 학술적 이론과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 개발하여 우리 농촌의 농업생산 환경에 알맞은 농업생산, 가공, 에너지 활용과 관련된 기계화와...
학과소개 국내 경제 및 사회의 선진화는 노동력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였고, 국내 농산물 시장의 개방화 압력은 농업의 구조 개선을 절실히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농산물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바이오 관련 작업의 첨단기계화가 필요하다. 본 학과는 바이오 관련 작업의 첨단화에 관련된 학술적 이론과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 개발하여 우리 농촌의 농업생산 환경에 알맞은 농업생산, 가공, 에너지 활용과 관련된 기계화...
교과과정 ■ 목재공학·보존과학전공 Wood Engineering and Conservation Science ■ 펄프·제지공학전공 Pulp and Paper Science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기 초 공 통 ...
교과과정(문화재과학전공 Cultural Heritage Science)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기 초 공 통 석 사 문화재분석특론 ...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전공공통 통합 정보경제학세미나 Seminar on Information Economy ...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산림치유학협동과정 기초공통 석사 신림치유론 Theory of Forest Th...
학과소개 원예학전공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원예작물의 과학적, 효율적 생산을 위해 식물의 생리를 연구하고, 육종을 통한 새로운 품종의 개발 및 식물과학 전반을 연구하며, 순수 원예학과 함께 다양한 원예분야 연구를 통해 이론을 심화하고 첨단기술 등을 연구하는 전공입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유능한 연구자와 현장적응력 있는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 주임교수 소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
학과소개 농생물학과는 식물보호라는 공통 목표 아래 크게 두 분야의 독립된 전공이 모여 있는 학과로서, 대학원생은 식물병리학 전공과 응용곤충학 전공으로 나뉜다. 세부전공과목에서는 두 전공이 공통되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과목수강 등 대학원에서의 모든 교육과 연구는 각 전공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식물병리학 전공은 다시 식물진균병학, 식물세균병학, 식물바이러스병학, 수목병리학, 분자식물병학 등의 세부전공으로 구분되나, 모든...
교과과정 교육과정 구분 과정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특용식물학 석사 실험계획학 Experinental Design 석·박사 ...
학과소개 농생물학과는 식물보호라는 공통 목표 아래 크게 두 분야의 독립된 전공이 모여 있는 학과로서, 대학원생은 식물병리학 전공과 응용곤충학 전공으로 나뉜다. 세부전공과목에서는 두 전공이 공통되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과목수강 등 대학원에서의 모든 교육과 연구는 각 전공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식물병리학 전공은 다시 식물진균병학, 식물세균병학, 식물바이러스병학, 수목병리학, 분자식물병학 등의 세부전공으로 구분되나, 모든 세...
학과소개 농생물학과는 식물보호라는 공통 목표 아래 크게 두 분야의 독립된 전공이 모여 있는 학과로서, 대학원생은 식물병리학 전공과 응용곤충학 전공으로 나뉜다. 세부전공과목에서는 두 전공이 공통되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과목수강 등 대학원에서의 모든 교육과 연구는 각 전공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식물병리학 전공은 다시 식물진균병학, 식물세균병학, 식물바이러스병학, 수목병리학, 분자식물병학 등의 세부전공으로 구분되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개인정보 처리방침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①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
종합대학이전 연혁 년도 연혁 1950 1951. 09. 도립 청주농과초급대학(2년제)으로 개교 1951. 09 농학과, 축산학과 신설 / 부속농장·목장 통합 설치 ...
종합대학 이후(2000년 ~ 현재) 연혁 년도 연혁 2000 2000. 03. 농학과를 식물자원학과로 과명 변경 2003. 05.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설립 2004. 09. 학과(전공) 명칭 변경(원예→원예학과, 농생물학→식물의학과, 임학→산림학, 임산학→목재·종이...
학부 연락처 Tel : 043)261-2579 Fax : 043)271-4413 URL : https://agriis.cbnu.ac.kr/ 학부소개 1. 교육목적 농업생명환경대학 자율전공학부는 디지털 전환과 지속 가능한 농업·생명·환경 분야의 미래를 선도할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학생들은 1년 동안 농업·생명·환경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 영역을 탐구하며, 스스로 적성과 비전을 확인하고 주도적으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학습 ...
[2022 온라인 직무실습 캠프(2차) 참여자 모집] 진로 설계와 직무 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다양한 직무의 현직자 특강과 현업과제를 수행하고 1:1 피드백, 마지막 나의 미래 이력서 작성해보기까지!! 참여하시고 다양한 경험과 상품도 받아보세요! 1. 프로그램 일정: 2022. 10. 4.(화) ~ 10. 20.(목) 2. 진행 방법: VOD 제공 및 ZOOM 활용 ※ 희망하는 직무를 1~3개까지 선택하여 현직자 직무 특강 수강 후 과제 수행 ※ 시간...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4 공지사항
강소특구지원센터에서는 우수기술을 보유한 청주 강소중소기업의 온라인 판로 개척 지원을 위한2022년 이음 프로젝트 사업의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사업기간: 선정일로부터 11월 말까지지원대상: 공고일 기준 본사, 연구소 등 청주 소재지 기업지원내용- 판로개척 지원사업 선발기업 컨설팅 플랫폼 제공- 선발기업 홍보 영상 제작 지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온라인비즈니스 마켓 입점지원방법: 첨부파일의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접수(gangso@cbnu.ac.kr)신청마감: 2022. 09. ...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5 공지사항
평화·통일 파주 DMZ 1박2일 현장체험 참가자 모집 충북대학교 통일교육 선도대학 사업단에서는 일방적 전달식의 통일 교육이 아닌 현장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현장체험을 통해 평화·통일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 제고를 위하여 1박2일 파주 DMZ 현장체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학생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ㅁ일정: 22.10.28.(금)~10.29.(토)(아래 일정표 참조)ㅁ장소: 경기도 파주시 일대(DMZ 포함)ㅁ모집대상: 충북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ㅁ모집기간...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6 공지사항
< 2022 미래자동차 페스티벌 C-Track 자율주행차량 체험 접수 >자율주행차량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 !1. 체험기간: 2022. 9. 28.(수) 13:20 ~ 16:302. 체험장소: 충북대학교 오창캠퍼스 C-Track (차량운행)3. 참여대상: 충북대학교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4. 참여방법: 학교 씨앗(CIEAT)에서 선착순 21명 접수 ※ 자세한 일정 등은 상세페이지 참조※ QR코드를 통해 '자율주행'을 검색해 보세요.※ 문의사항-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단 043-249-1154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7 공지사항
<2022 미래자동차 페스티벌 런치 스페셜 강의>유익한 강의와 식사를 한번에 ! 일석이조 런치 스페셜 강의 !구분9/28 (수)9/29 (목)9/30 (금)주제자율주행 기술과서비스 상용화시스템 · 표준화 현황전기자동차의구조와 개발친환경차 개발과프로세스 혁신강사유시복이민섭민종철약력현) 한국자동차연구원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장현) 충북대 디지털혁신초빙교수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PM센터장,미국기술연구소 부소장,소음진동개발실장현) 계명대 미래자동차교수현) 오...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8 공지사항
2023 Spring Application for Undergrad./Grad. Admission(Int'l Student Only)A. Schedule 1) Deadline for Application and documents: Oct. 17 ~ 28, 2022 6PM *There will NOT be any additional rounds for application. Please follow the above period. - How to apply: Via Online application ★ Please read our instructions(PDF) attached below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49 공지사항
[SK온 채용설명회]1. 일시: 9. 26.(월) 14:002. 장소: 개신문화관 회의실3. 모집직무: 경영지원(구매,재무,HR 등), 비즈니스(마케팅 등), 연구개발/공정개발(차세대 배터리, 선행연구,Cell 개발,시스템 개발,공정개발 등), 엔지니어: 품질,Cell 공정기술,설비...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50 공지사항
1. 업무내용: 대학 수시모집 입학전형 업무 보조2. 근무기간 및 모집인원- 2022. 10. 4.(화) ~ 2022. 12. 28.(수) / 3명* 필요에 따라 연장근로[야간(18:00 이후) 또는 휴일(토/일/공휴일) 근무]가 있을 수 있음* 근무기간은 진행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음3. 자격조건: 휴학생 및 졸업생* 본인 및 친인척 중 우리 대학 수시모집 / 편입학 / 대학원 지원(예정)자가 있을 경우 지원 불가* 본인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수험생(학원, 과외 등을 통해 교습한 수험생 등)이 우리 대...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51 공지사항
2022-2학기 제 19기 충북대학교 공식학생홍보대사 1차 서류 합격자 발표 2022-2학기 제 19기 충북대학교 공식학생홍보대사 선발 1차 서류전형 합격자(면접대상자)를 다음과 같이 확정하여 공지하오니, 면접대상자는 면접 일정 및 장소를 숙지하여 전형에 응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1차 합격자 명단 : 붙임파일 참조 ○ 면접전형 일시 : 2022. 9. 23.(금) 14:00시 부터※ 개인별 세부 일정은 첨부파일 참조, 본인 면접시간 10분전 대기 장소에 대기※ 사전 연락 ...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52 공지사항
훈련개요 훈련시간 : 10.17(월)~20(목), 11.7(월)~8(화) / 총 6일훈련시간훈련일자대 상훈련일자훈련시간훈련장소6H(6일)/1066명10.17(월)177명토목공학부(57명), 기계공학부(64명)건축공학과(37명), 안전공학과(19명)09:00~16:00* 원격교육 1회)* 헌혈2회자* 훈련편성은훈련 일기준 25일전 옥천양수리예비군훈련장10.18(화)175명경영대학(86명), 생활과학대학(19명)사범대학(70명)10.19(수)172명사화과학대학(48명), 환경공학과(16...
http://kalas.damsoft.kr/?mod=view&pg_idx=154&pidx=3953 공지사항